[.NET/ASP.NET] - [ASP.NET] ASP.NET MVC2 Site 만들기 (1)

먼저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각 폴더에 대해서 살펴보려 합니다.


  • App_Data : Data file 을 담아 놓는 폴더입니다.
  • Content : CSS 파일이나 image 같은 정적인 파일들을 저장하는 폴더죠.
  • Controllers : 폴더 명을 보면 알 수 있죠? Controller Class들을 담아 놓는 폴덥니다.
    잠시후에 다시 설명을 하겠지만 Controller 는 MVC 기반의 application 에서 사용자 상호작용을 처리한다거나 데이터를 조작한다거나, UI를 표시할 View 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component 라고 할 수 있습니다.
    MVC Framework 에서는 모든 컨트롤로의 접미사로 Controller 를 붙여야 한다는거... 잊지마셔요.
  • Models : MVC Web application 에서 사용하는 application model 들을 담아 놓는 폴더입니다. 주로 Object를 정의하고 데이터 저장소 작업을 위한 로직을 정의한 코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Scripts : 말그대로 JavaScript 파일을 저장합니다.
  • Views : View 파일을 담는 걸 추천하죠. View 는 application의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component 라고 할 수 있습니다. View 로는 .aspx, .ascx 와 .master 파일과 View 를 만들어 내는 기타 파일들이라 하겠습니다. View 폴더는 각 Controller 를 위한 폴더를 포함하고 있는데 폴더명은  Controller의 접두어를 사용합니다. 위 그림에서 보시면 Views 폴더내에 Account, Home 폴더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Shared 폴더가 생성되는데 여러 controller 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master 파일과 같은 View 가 포함되어있습니다. 
  • Global.asax : MVC Web application 이 사용하는 기본적인 URL Routing을 포함한 전역적인(global 한) 항목들에 대한 코드가 담겨 있습니다.  
  • Web.config : application 설정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MVC Web Application 을 구성하는 폴더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다음은 Controller, Model, View 에 대한 사항들을 하나하나 설명하기로 하겠습니다.



행복한 고수되셔요.

woojja ))*
\\\\\\\\\\\\\\\\\\\\\\\\\\\\\

반응형
Android Application 을 Debug 하고 Deploy 를 하려고 하면 두가지 Key 가 필요합니다.
Debug 를 위해 필요한 SDK Key 의 경우 Android SDK 를 설치하게되면 기본적으로 부여됩니다.
하지만 개발자가 개발하게될 각각의 Application 은 Deploy를 하기 위해서 각각의 Custom Key 가 필요하게 되는데요.
그 Custom Key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그것은 Android Tools>Export Signed Application Package... 메뉴를 사용하는 방법과
Export 하는 방법입니다.

차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를 오른쪽 클릭해서 나타나는 메뉴중  Android Tools>Export Signed Application Package... 를 선택합니다.

나타난 화면의 Project 란에 알맞은 프로젝트명을 입력합니다.
NetworkTest 프로젝트를 선택했으므로 기본적으로 NetworkTest 가 입력되어있습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기존의 KeyStore 를 사용할 수 있지만 새로운 Keystore를 생성하겠습니다.
Password 를 잊지 마십시요.

여기서 다시 넣게 되니까요... ㅋㅋㅋ

deploy 할때 생성될 Package 의 .apk 를 명을 입력합니다.

폴더도 선택해 주어야 겠죠?
Finish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만들어 졌군요.

그럼 device 에 install 하겠습니다.
Success 됐군요... ^^


이번엔 두번째 방법인 프로젝트를 Export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를 오른쪽 클릭해서 나오는 메뉴중 Export... 를 선택합니다.

Export 할 대상 항목을 선택을 하고요...

Export 할 프로젝트를 선택합니다.
선택한 프로젝트명이 기본적으로 입력되어 있습니다. 
이 아래 부터는 이전 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진행됩니다.







설치해 보겠습니다.
Success 가 나왔군요...


이상으로 각 Android Application 을 배포하는데 필요한 Custom Keystore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배포까지 해 보았습니다.


행복한 고수되십시요...

woojja ))*
\\\\\\\\\\\\\\\\\\\\\\\\\\\

 
반응형

'ETC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Samsung Galaxy Emulator 추가하기  (0) 2010.06.10
[Android] 구글 TV  (0) 2010.05.25
[Android] Android 개발환경 구축  (2) 2010.05.16
초보강좌를 시작합니다.
얼마나 갈지 모르지만...

이제부터 차근차근 내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Site 를 만들어 볼까합니다. ^^

제 Level 이상이신 분들은 모두 훠~~이, 훠어~~이.
고수는 가라, 고수는 가라...

얼렁얼렁 하죠... ^^

처음은 간단하죠..
프로젝트를 추가합니다.

Web을 만들테니까... 왼쪽에서 Web을 선택하시고  가운데 Web Project 리스트에서 ASP.NET MVC2 Web Application 을 선택합니다. 오른쪽에는 선택한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이 나타나내요.
아랫쪽에 프로젝트이름과 저장할 폴더위치, 솔루션 명을 입력합니다.
새롭게 폴더를 만들려면 체크박스를 체크해 주시구요...

이젠 Unit Test 는 기본이죠.
만들어 주셔요. 아래 이름은 디폴트로 생기죠? 다른 것 넣어주실분은...
회사나 모임, 또는 개인적으로 사용하시는 Test Framework 이 있으셔서 설치하셨다면 프레임웍을 선택해주시구요... 
OK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아래는 새롭게 생성된 MVC2 Application 의 폴더구조입니다.

이 작업은 해주지 않아도 상관없지만서도
VisualStudio 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ASP.NET Development Server 라는 Web Server 에서 웹프로제트를 실행시킬수 있습니다. 그리고 별도의 포트를 지정해 줄수 있습니다. 저는 50,000번으로 설정했습니다.

F5 버튼을 클릭하게되면 System Tray 에 아이콘이 나타나며 아래와 같이 실행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새롭게 생성된 MVC2 Application 의 폴더구조입니다.

요기서 부터는 잠시 다녀와서... ^^

2편으로 이어집니다.

행복한 고수되셔요...

woojja ))*
\\\\\\\\\\\\\\\\\\\\\\\\\\\\\\





반응형

+ Recent posts